CJK 정보 위키 페이지 복구

예전의 OpenLook 위키에 있었던 거의 유일한 유용한 자료였던 CJK 페이지를 요즘 쓰고 있는 trac 페이지로 옮겼습니다.

여전히 덜 쓴 부분이 아직 좀 남아 있지만, 혹시 그동안 보고 싶었는데 위키에 안 올라가 있어서 못 보신 분들은 얼른 가셔서 보세용~ (언제 또 trac을 내릴지도 모르는 일 =3=3)

한글 PuTTY 주요 기능 업스트림

그동안 3년정도 관리해 왔던 한글 PuTTY를 이제 관리하기도 귀찮고, 업데이트도 자주 올라오고 해서 이제 주요 기능을 그냥 다 업스트림 패치를 만들어서 올려버리고 그만둘까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우선, 현재 한글 PuTTY의 주요 변경점을 보면,

  • 한글 위에 커서가 올라가는 경우 커서 크기를 키움
  • 한글 입력 도중에 입력창이 별도로 뜨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입력
  • 환경 설정창이 한글로 나옴
  • 한글 윈도우 98에서 입력이 전혀 안 되는 문제점 수정

정도가 들어가 있습니다.

여기서 커서 크기가 늘어나는 것은 Hung-Te Lin이라는 사람이 업스트림한 패치가 3월말에 들어가서, 이제 PuTTY에서 별도의 패치 없이도 커서 크기가 자동으로 한글 위에서 늘어나게 되어서 다행히도 이제 한글 PuTTY에서 패치를 안 해도 되게 되었습니다. 🙂

그 다음, 입력창을 안 띄우는 것은 사실 IME을 쓰는 곳 중에서 창이 걸리적거리는 곳은 거의 한국어가 유일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직접 패치를 할 수 밖에 없었는데, 지난 번에 좀 삽질해서 패치한 위치를 출력단에서 터미널단으로 옮긴 덕분에, 업스트림 패치를 비교적 단시간에 만들 수 있었습니다. 🙂

한글로 나오는 설정창과 윈98 문제는 현재 업스트림이 가능할 만한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은 업스트림에서는 빼고, PuTTY를 선택적으로 gettext와 빌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넣어서 그것을 통해서 넣는 게 나을 것 같네요. 그래서 일단은 차후로~

그래서 일단 업스트림할 것은 제자리 입력 패치 (이른바 onthespot 패치)인데, 패치는 오픈룩에도 올려 두었습니다. 곧 들어가게 되면 이제 한글 PuTTY 다운 받지 말고 그냥 오리지날을~ 🙂

오픈소스가 그렇게 힘든가

회사에서 워크샵을 가면서, 상황 극복을 위한 발전 방향이나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같은 여러가지 것들을 토론했습니다. 지난번 워크샵까지는 그냥 먹고 놀았는데, 이번엔 진지한 토론도 하고 역시 많이 발전을.. 🙂

명함이나 회사 양식지 같은 여러 곳에 있는 회사의 슬로건은 “Open Source Experts”입니다. 그런데, 뭐 사실 회사가 생긴지 만 6년이 다 되어가지만, 오픈소스회사가 할 만한 일은 하나도 한 일이 없다고 봐도 되겠지요.. 전문가라면 쏙쏙 빼먹기만 해도 되남? 흐흐. 하여간 이런게 상황이 매우 어려운 회사 실정에는 호사스러운 불평일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아무도 얘기하지 않으면 그냥 그래도 되는 것이 되기에 용기를 내어 한번 말해 보았습니다.

그렇지만, 뭐 역시 답변은 “회사가 망하고 나서 오픈소스를 해 봐야 무엇하나”, “우리나라 사정에는 오픈소스로 돈 벌 수가 없다”, “오픈소스를 해야지만 오픈소스 회사인 것은 아니다” 이런 식의 늘 들어왔던 말들이었지요. 사실 이런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설득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오픈소스를 전혀 처음 접한 것이 아니고 이미 오해를 단단히 하고 있기 때문에 거부감을 이미 충분히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 생각을 바꾸기가 쉽지가 않지요.

사실 자신이 오픈소스를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경영자들의 오해는, 회사가 오픈소스를 하면 처음부터 무조건 레드햇같이 회사의 모든 제품을 오픈소스해야 하는 줄 아는 것이 주가 됩니다. 사실 제품 전체를 통짜로 오픈소스로 만드는 지미안이나 레드햇, IBM같은 곳도 있을 수는 있겠지만, 그런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해도 회사 재정에 문제가 없을 경우에나 그렇겠지요. 반면에 Google CodeYahoo Search Developer Network처럼 프러덕트 전체를 오픈소스화하는 것은 아니고, 회사의 이익은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세계 개발자원의 절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런 오픈소스화를 할 수도 있습니다. 회사 주력 제품을 개발하면서 부산물로 나오는 것은 사실 구글이나 야후만 하는 것이 아니라 FreeBSD 소스만 보더라도 수십개의 비-오픈소스 회사가 소스를 기부해 왔고, Python 소스에서도 10여개의 회사가 자신들의 목적에 맞춰서 일정부분의 소스를 기부해 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오픈소스라고 해서 굳이 목숨걸고 할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만약 대용량 메일 솔루션을 만든다면, 그 안에 들어간 서버 프로세스들을 위한 IPC 프레임워크를 공개한다고 해서 메일 솔루션 팔아 먹고 사는데 과연 지장이 있을까요. 오픈소스는 사실 그냥 회사의 도의적 정당성만 형식적으로 주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의 코드들을 오픈소스화 함으로써, 회사 자체의 관리 부담이 줄어들고, 오히려 외부에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준다던지 버그를 잡아줄 수도 있는 효과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오픈소스 부분을 사용하는 곳이 많아지면, 비슷한 라이브러리나 모듈을 사용하는 프로그램들끼리의 호환성도 쉽게 올라가서,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회사들끼리 상호운용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그리고, 오픈소스를 함으로써 개발자들에게는 “내가 이 회사를 다닌다. 우리 회사 라이브러리 써 봤어?” 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어서 사기충전에도 큰 도움을 주며 새로운 개발자들을 유혹하는 긍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개발자들 대부분은 자기 소스를 마음대로 자랑할 수 있을 때에 코드 품질이 훨씬 올라간다는 점에서 품질의 향상에도 영향을 줍니다.

저희 회사에서 점진적인 오픈소스가 진행되지 못했던 점은 물론 개발자들이 능동적으로 릴리스를 하려는 의지가 부족했던 점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그렇게 주장을 하더라도 오픈소스 개발자들의 개발 방식과 생활 방법이나 의식은 회사 생활에는 안 맞다는 생각이 이미 마음 속 깊이 있는 관리자들에게 말이 받아들여질 수 있을 지는 의문이군요.. 그냥 며칠 안 남은 병역특례가 얼른 끝나기를.. 🙂

달콤한 잠의 유혹

불면증 때문에 우울증도 겹쳐서 고생하는 친구가 있어서, “나는 잠이 왜 이렇게 많은가!” 궁금하기도 해서 잠에 대한 책을 하나 샀습니다. 그동안 잠에 대한 얘기는 사실 여기저기 짤막한 상식 글에 제법 많이 나와 있는 것을 보았지만, 그런 글들은 그다지 과학적인 연구없이 그냥 경험만을 토대로 얘기한 경우도 있고 체계적인 기반 지식을 얘기해 준 것이 아니라 크게 도움은 잘 안 되는 것 같은 느낌이 많았습니다.
이 책은 잠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해설할 뿐만 아니라, 잠/꿈과 관련된 수많은 통용되는 상식들과 사례를 소개하고 있어서 그동안 많은 시간을 자는데 보내고 있으면서도, 정작 잠의 특징에 대해서는 잘 몰랐던 답답함을 어느 정도 해소하였습니다. ^_^

이 책에서는 앞 부분의 50페이지 정도는 정말 지루하게도 약장수처럼 자는 것이 얼마나 좋은가, 잠 안 자면 얼마나 피곤한가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사실 그 부분은 어찌나 지루한지.. 그냥 건너 띄는게 나을 것 같더군요. =.=; 그 다음부터는 우선 잠의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보통 TV같은 곳에서 진정한 잠이라고 자주 언급을 하는 REM수면 외에도 그 바로 앞 단계인 서파수면이 그렇게 중요한 지는 처음 알았네요~ REM 수면은 오히려 거의 안 자는 동물도 있다고 하고.. (스포일러 중! 쿠쿠)

그 이후에도 이제.. 잠을 방해하는 요소인 카페인, 알코올, 니코틴 등이 어떤 방식으로 잠을 방해하는가에 대한 것, 잠을 잘 오게 하려면 체온이 올라갔다가 서서히 내려가야 한다는 점, 대부분의 사람은 일어날 시간을 미리 자기 전에 생각하면 대충 그 시간에 일어날 수가 있다는 점 등 연구가 충분히 된 결과들을 재미나게 설명을 하고 있어서 책을 놓기가 쉽지가 않네요. 🙂

이 책의 저자는 행동생물학을 전공한 박사임에도 불구하고, 문학 작품을 인용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거의 영문학을 연구한 사람이 아닌가 의심스러울 정도군요. 보통 컴퓨터과학 서적에서 시도때도 없이 인용해대는 앨리스 얘기도 당연히 나오고 있구요. 🙂 재미있었던 오스카 와일드의 일화 하나를 소개해 봅니다.

창조적인 일을 한 위대한 인물들 가운데 무수한 사람들이 올빼미였다는 사실은 무척 안심이 된다. 오스카 와일드 역시 진정한 올빼미였다. 한 친구가 오스카 와일드에게 다음날 아침 9시에 자신의 집에 들러 달라고 부탁하자, 오스카는 이렇게 대답했다.

“자네 참 대단한 사람이군! 난 절대로 그렇게 늦게까지 깨어 있지 못하네. 나는 늦어도 5시에는 늘 잠자리에 들거든.”

— 폴 마틴, 《달콤한 잠의 유혹》

오픈룩 개편 완료

수개월 전에 사이트를 대폭 개편했지만, 당시에 모자랐던
정신력으로 -.- 첫 페이지만 제대로 보이고 클릭을 조금만 하면
여기 저기 깨져 있었습니다. 친구의 얘기도 있고 해서 주말에
사이트의 깨진 부분을 메워서 이제 대충 눌러 봐도 돌아가는
사이트처럼 변신시켰습니다. 🙂

  • 방명록 부활 – 방명록을 다시 붙이고 껍데기를 좀 덜 다른 사이트처럼 안 보이게 바꿨습니다.
  • 위키위키 링크 수정 – 아직 위키 페이지들은 복구되지 않았지만, Trac으로 구성된 위키위키를 다시 링크해 놓았습니다. 아울러 CVSWeb 대신 Trac의 소스 브라우저로 링크해 두었습니다.
  • “좀 더 관심이 있어요” 페이지 채움. ^.^
  • 라이선스 페이지 한글로 채움. (zlib/libpng 라이선스입니다.)
  • 페이징 지원 추가 – 페이지 목록이 나오는 깔끔한 것은 아니지만, 카테고리별 보기와 전체 보기에서 다음, 이전 페이지로 가는 링크를 넣고 페이징해서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페이징은 희한하게도 coreblog 프러덕트 자체에는 대충 구현이 되어 있는데, 스킨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스킨만 좀 고치니까 잘 되는군요. 🙂 혹시 필요하신 분이 있으실까봐 소스를 약간 붙여넣어 봅니다.

세번째 파이썬 마을 세미나

지난 목요일인 5월 19일 거의 1년간 하지 못했던 파이썬 마을 작은 세미나를 했습니다. 이번에는 세번째인만큼 지난 번 같은 대동 화합적인 1개 트랙로 수십명 같이 듣기 모드보다는,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관심사와 숙련 정도에 따라 필요하신 곳에 참여하실 수 있도록 2개의 트랙을 준비해서 동시에 옆 방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꿨습니다. 사실 100명 넘게 참여하는 세미나 같으면야 당연히 이렇게 하지만.. 겨우 10명 하면 많이 하는 곳에서 이렇게 2개로 나눈다는 것이 좀 부담스럽기는 했습니다. 쿠쿠 그런데 뭐 대충 성공! (각 트랙별로 10분 정도씩 참가해 주셨습니다.)

이번에 진행한 트랙은 2개로 1번 트랙에서는 넓고 시원하고 탁 트인 방에서 이만용이사님이 “파이썬 신식 클래스 (new-style class)”를 진행하셨고, 2번 트랙은 좁고 통풍 안 되고 더운 방에서 제가 파이썬 흑마법이라는 주제로 진행을 했습니다. 각각 1시간 30분씩 진행을 했는데, 제가 진행한 2번 트랙은 더워서 다들 파이썬에 대한 열기가 후끈후끈!! (;;;) 지난 번까지는 계속 회비를 1만원으로 했는데 매번 뒷풀이를 하고 나면 돈이 모자라서 세미나 후유증으로 재정을 고려하고 그래야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과감히 1만 5천원으로 회비를 올렸더니만! 뒷풀이 테이블 하나에 안주를 3개씩 시키는 호화스러운 뒷풀이를 할 수 있었습니다. 하하 다들 만족하시는 분위기라.. (비싸서 안 오신다는 분도 있었지만 ㅠ.ㅠ.)

이번 세미나에서 발표한 프리젠테이션소스를 올려 두었습니다. 이번에 아쉽게도 못 오신 서지원님꼐서 vnc2swf로 녹화를 하면 어떻겠냐 하셨는데, 제가 아직 사용법을 숙지를 못 해서 못했네요 –; 다음엔 꼭! 🙂

다시 엄마 아파치 품으로

한동안 웹서버를 lighttpd로 외도를 했습니다만, 얼마 전에 다시 아파치로 돌아왔습니다. 역시 쓰는 사람이 적으면 같은 문제를 겪는 사람의 수가 적은 것이 크나큰 한계네요..

lighttpd를 쓰면서 즐거웠던 것은, php를 밖에다 두고 fastcgi로 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어서 매뉴얼에 상세히 작성되어 있었기에 왠지 분리를 했다는 뿌듯함에.. 🙂 그리고 프로세스 개수도 적고 해서 퍼포먼스 차이를 별로 실감하지 못하면서도 왠지 빠른 것 같이 느껴지고 그랬는데, 문제는 역시 한 1주일 쓰다보니까 발견이 되었습니다.

lighttpd를 쓰다 보면, 비동기 웹서버의 특성 상 아무래도 fastcgi나 proxy를 써서 백엔드로 많이 넘기게 되는데, 생각보다 개발자가 특이한 상황을 아직 많이 접해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 fastcgi가 돌다가 에러가 단 1번이라도 나면, 바로 그 핸들러가 서비스 설정에서 빠지기 때문에 보안 상으로는 좋을 지는 몰라도 실제로는 수시로 뻑나서 서비스가 어렵 ㅠ.ㅠ
  • fastcgi를 외부 서버로 돌리고 있을 때 서버가 죽어버리면 unknown state: 3이라는 에러로그를 무한정 뿌립니다. (하드디스크 꽉 찰 때까지!) /var에 4기가 할당했는데 왜 자꾸 풀나나 했더니.. 허헛; 이 현상은 소스를 확인해 보니까, fastcgi 비동기 접속 상태가 열댓개가 있는데 그 중에서 자주 나오는 2개만 핸들하고 나머지는 프로그램을 안 해 놨더군요.. -.-;;
  • proxy도 같은 현상. unknown state 싫어싫어~

한동안은 “그래 나도 lighttpd에 이바지해야지” 하고, 앗싸 버그! 모드로 수정을 해 보았는데, 별로 하나 수정하면 또 다른데서 뻑나고 그래서.. 흐흐 쉽지가 않네요. 결국은 우리 마음의 고향 아파치로 돌아왔습니다. 돌아오고 나니 어찌나 반갑던지 ㅠ.ㅠ 대충 설정해도 찰떡같이 돌아가 주고! 그래 역시 집이 좋구나.

기왕에 fastcgi-php를 세팅한 김에, 아파치에서도 fastcgi로 돌렸는데, 역시 동적인 서비스에서는 웹 서버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이 맞는지, phpBB의 첫 페이지를 벤치마크해 본 결과 lighttpd로 돌린 것이 230 요청/분, apache로 돌린 것이 227 요청/분 이렇게 나왔습니다. 사실 벤치마크하는 도중에 CPU는 95% 정도를 php가 먹고 있었기 때문에, 정말로 웹서버는 별 영향이 없네요.. 그래 아파치 좋아~ 🙂

아파치에서 php-fastcgi를 설정하면서 지난 번에 했던 php 패치가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았는데, 스크립트 파일 위치를 chroot된 디렉터리를 chroot되기 전 경로 기준으로 주는 바람에 그런 것이어서, 약간 패치를 더 해 봤습니다. 아파치 php-fastcgi 쓰시려는 분들은 써 보세요. 🙂

Intel HyperThreading 보안 결함 발견

최근 FreeBSD의 미래와 관련된 무척 흥미로운 (정말로!) 얘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BSDCan 2005에서 일이 하나 터졌습니다. 인텔의 펜티엄 연산 버그 이후로 가장 큰 문제가 아닐까 하는데, FreeBSD 커미터인 Colin Percival (freebsd-updateportsnap으로 유명한)이 인텔의 Hyper-Threading 구현의 보안 결함을 BSDCan에서 발표한 것입니다.

아직 무슨 문제인지, 고칠 방법은 무엇인지가 구체적으로 발표된 것은 아니고, BSDCan에 참가하고 있는 개발자들 간에는 활발한 토론이 이뤄지고 있는 듯합니다. 해당 문제로 인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다른 사용자 프로세스에 의해서 RSA키같은 사적인 정보들이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인데, 아무래도 CPU상의 문제가 그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면 HTT에서 같은 프로세서에 우연히 같이 올라간 프로세스가 서로 메모리 영역 보호가 잘 안 된다거나.. 알게 모르게 특수한 상황에서 레지스터가 공유돼 버리는 것이 아닌가 한번 때려 맞혀 봅니다. -.-; 그래서, FreeBSD에서는 하이퍼쓰레딩이 이제 디폴트로 꺼지는 것으로 우선 처리가 됐고, NetBSD에서는 올바른 피해가기 패치를 마련한 다음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SCO에서도 패치를 한 걸로 봐서는, OS에 큰 상관 없이 하이퍼쓰레딩을 지원하는 모든 OS에 영향을 주는 것 같군요.

흐흐흐.. 인텔 화이팅~ -O-;;;

서울 지하철 모듈

IRC 봇 SugarCube의 주요 플러그인 중의 하나였던 지하철 플러그인이 최근에 정보 싸이트로 쓰고 있던 WebSubway가 개편을 하는 바람에 안 돌아가게 돼 버렸습니다. 한동안 고치기 귀찮아~~~을 외치며 우어우어 거리고 있다가, 휴가 중 짬을 내어 봇에서 따로 쓸 수도 있게 그냥 일반화 클래스를 만들어버렸습니다.

사용법은 대충 이런식..

흐흐 일단 SugarCube에 적용해 놓았는데, 다른데 msnm 봇이나 웹사이트 같은 데 활용하실 분들은 마음껏 사용하세용~ (라이선스는 libpng/zlib 라이선스) 소스는 OpenLook Trac에서 받으실 수 있고, 소스코드 문서도 있습니다. (크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