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반역인가》 – 박상익

안정효씨의 다른 책을 찾으러 도서관에 갔다가, 확 눈에 띄는 빨간 색의 표지 때문에
이 책을 발견했습니다. 서양사 관련 도서를 많이 번역하신 어느 교수님이 쓰셨는데,
표지에서부터 “대학원생들에게 번역 하청을 맡긴 교수가 떳떳이 활동하는 사회..”
라고 짧은 글로 한국 번역문화의 문제점을 확실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처음에 번역이 역사적으로 문명의 발전에 기여해온 배경, 한국 번역서의
역사적 흐름을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유럽 사회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이 이슬람과 그리스 책들을 번역한 서적들이 누적되면서라는 점이
설득력있게 전개되어 있습니다. 유럽 사회는 왠지 아주 태고적부터 발전되었지
않았을까 누구나 생각을 해 왔겠지만, 이슬람에 한참 뒤쳐진 거의 야만인 시절의
시기에 선구적인 번역가 집단들의 노력으로, 옛날에 축적된 지식들이 자국어 문화로
편입되면서 발전의 토대를 쌓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저도 지금까지는 번역을 그냥 시간을 절약시켜 주는 정도로 별것 아니게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오랫동안 양쪽언어를 모두 했던 유명한 문학가들도
모국어책에서 훨씬 느낌이 정확하게 와 닿고 정보의 양이 차이가 확실하다는
점에서 확실히 번역서가 있고 없고는 해당 국가의 문화에 들어갔는가 아닌가의
차이가 되어 버린다는 생각에 자연스럽게 끄덕이게 됩니다.

우리는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탄 난쟁이와 같아서, 그 어깨로부터 거인들보다
더 멀리 많은 사물을 볼 수 있으니, 이는 우리의 시력이 예민하거나
우리의 재능이 출중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그들의 거인다운 위대함에 의해
지탱되고 고양되기 때문이다. — 52페이지 (사르트르의 베르베르의 말을 재인용)

그런 면에서, 번역서의 품질은 결국 그 문화의 깊이와 넓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지금같이 오히려 원문보다도 읽기 힘든 번역서가 판치는
상황은 분명히 문제가 심각합니다.

그러나, 번역을 해 보신 분들은 모두 알 수 있듯이, 한국 출판계의 상황은
별로 좋은 품질로 번역서가 나올 만한 상황이 아닙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번역해 봐야 시급으로 따지면 편의점 알바보다도 못한 보수가 나오는 상황에서
여간 재력이 있지 않고서는 번역을 제대로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그 유명한 (삭제) 책이 나오는
것이 어찌보면 사회적으로 당연한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번역을 이처럼 하찮게 여기는 것은 우리의 학풍이 이 땅에 발을 딛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피할 수 없는 증거로 여겨진다. 이 땅에서 살면서 마치 자신이 미국 시민인 것처럼 행동하고, 한국 대학에서 월급을 받으면서도 마치 미국 대학의 교수인 것처럼 행동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안타깝게도 ‘주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찾아보기 힘들다.
— 207페이지

원서로 안 읽는 후배녀석들을 구박할 때,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는
기초학문 정도는 모국어로도 충분히 배울 수 있어서, 본인이 관심만 있다면
12살짜리 커미터, 13살짜리 SCI 논문 발표자가 될 수도 있는 환경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 학계의 번역에 대한
인식 재고, 도서관 문화의 개선 등 여러가지 해결책이 이 책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번역에 대한 생각을 제대로 정리할 수 있게 되어서 무척 다행입니다. ^^

저도 이제 파이썬 마을에서 답글 달 때, 영어로 된 매뉴얼에 링크 덜렁 달고
끝내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반성~)

4천5백만 국민들을 위한 지적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투입되는
정부 1년 예산이 서울 강남의 아파트 1채 값이다.
— 224페이지

13 thoughts on “《번역은 반역인가》 – 박상익”

  1. 교수와 대학원생 사이에 이상하게 꼬인 “도제”관계를 우선 끊어야한다는 생각이 이 책을 보면서 더 절실했습니다. 요새 의사들이 “인턴, 레지던트 노조”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대학원생 노조? 비슷한 협의체라도 만들어야 원생들이 좀 덜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을까 합니다.

  2. 김치하 교수의 번역은 불성실함에서 온 것이 아니고 오히려 성실함에서 온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즉, 전산용어를 우리말화 하려는 각고의 노력 속에서 그런 번역물이 나온 것이라는 말이지. 하지만 대중의 평가는 차가웠고 누구나 김치하 교수의 번역물을 비꼬게 되었다는 점이 안타까운 일이다. 언어는 한 두 사람의 노력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니까.

    곧 출간될 SICP의 번역서도 이광근 교수님이 몇몇 단어에 대해 순우리말 번역을 하려고 노력하고 계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다수의 독자는 싫어할 것 같다.

    사실 내가 싫어하는 번역은 불성실한 번역이다. 모르면 모른다고 하지 않고 어슬쩍 넘겨 짚은 번역들.

    아, 그리고 안정효씨는 규범적(prescriptive) 언어론을 맹신하는 사람인지라 좀 맘에 들지 않는다. 번역도 그리 뛰어나다고 하기 어렵고.

  3. 아~ 그 책은 문맥에 적절하지 않은 말을 섞었네요. 그 책은 사실 놀림의 대상이 된 것은 용어 때문이었지만, 동시에 대표적인 대학원생 1장씩 나눠서 번역하기의 산물로도 유명했고, 초판의 번역 품질 또한 각 장마다 다른 문체로 문제가 많아서 쓴 것이 문제가 됐었어요. 3판은 나아졌을지도 모르겠네요~

    용어의 우리말(한자어를 포함하더라도) 번역은 여러모로 저도 요즘 매우 관심이 가고 있어요. 그래서 일부러 노력을 조금씩 해 보긴 하는데, 여전히 새로 생기는 전문 용어들이나 라틴어 계열의 명명법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시간적 차이 같은 것 때문에 화장실에 갈 때마다 고민을 하게 돼요. -.-a;

    안정효씨 책은 아직 안 읽어봤는데, 읽고 있는 다른 책을 읽은 다음에 한번 저도 직접 맛을 봐야겠네요. ^^

  4. 외국의 지식을 습득한 한국인들은 또한 한국어를 갈고 닦을 의무가 있다고 봐요. 막상 영어의 문법에는 정통하면서 맞춤법에는 무관심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는(뜨끔)… 좋은 한글말 기대합니다~

  5. 어리버리 번역을 한답시고 설치는 사람으로써 많은 반성을 하게 만드는 글이네요. ;;
    뭐.. 그건 그거고 질은 둘째치고 양이라도 좀 많았으면..

    제가 가진 전공 서적-이제는 전.혀. 안보는-은 전부 영어책이더군요. 영어로 보다보니 어느새 번역본보면 더 헷갈리지만-특히 용어부분이- 그 당시에 번역본이 있어, 번역본으로 공부를 했다면 최소한 개념 이해는 더 쉽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사실 원서로 공부한 덕분에 지금도 원서보는 데에는 무리가 없지만.. 그런 능력을 중요시하기보다는 -원문에 쓰신 것처럼- 번역서만으로도 괜찮은 논문 하나 정돈 쓸 수 있는 기반(인프라)가 구축되었으면 더없이 좋을 것 같네요.(절대 안될 것 같지만.. 젠장 그 놈의 영어공부에 들여붓는 돈으로 번역서 하나라도 만들어라! ;;)

    – 전공공부보다는 원서 읽는데 더 많은 시간을 들인 나머지..
    전공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을 하면서, 괜실히 취미삼아 번역을 하는 이 ;;;;

  6. 김창준씨가 말한 김치하 교수님의 번역본은 저희 교수님 연구실과 김치하 교수님 연구실에서 번역했던 책이지요. 전 두번째 권 번역에 참여했었죠.
    지금도 부끄럽기 그지 없습니다.
    그때는 번역에 대한 생각이 단편적이였던 시절이죠.

  7. 왠지 현실을 확인한 것 같아 슬프네요. 저는 고등학교 교과서에나 나왔던(귀찮아 제대로 읽지도 않았었던) 문학들을 지금에야 다시 읽으면서 한글이 정말 아름답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런 문학들을 영어로 어떻게 번역해서 서양인에게 전달할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불가능해 보입니다.

    이렇게 전달되지 못하는 나머지가 정말 순수하게 우리 문화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