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월드컵 대표선수 중에 대체로 겨울 출생자가 많다는 것을 라디오에서 들었습니다. 그런데, 옛날에도 그런 말을 몇 번 들은 적이 있어서, 정말로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겨울에 태어난 아기가 천재성과 예술성이 높다.”라는 말이 사실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자 그래서, 바야흐로 시험철.. 이런 것이 궁금해 보면 직접 계산을 해보는 것! -.-
옛날에 FreeBSD 커미터 생일 통계가 몇 번 나온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도 1,2,3월생이 유독 많았던 기억이 있어서, 우선 비교적 포매팅이 잘 되어 있는 FreeBSD 커미터 생일로 해 봤습니다. 뭐 물론 FreeBSD 커미터라고 다 똑똑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일정 노력이 있어야 하는 것이니까 한 번;;;
자.. 결과는 생각보다 별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10~12월이 적은 것이 뚜렷하긴 하지만, 원래 10~12월은 날짜가 다른 달보다 이틀 적으니까(?) ;; 음.. 아직 확률 통계론을 안 배워서 이게 가설을 지지하는 범위 안에 들어가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역시 사람이란 배워야..;)
표에는 안 드러났지만, 하나 독특했던 것은, 5월이 굉장히 수가 많았고, 4, 6, 10, 11, 12월이 아주 적었는데, 제일 수가 많은 5월은 28명인데 비해, 11월은 11명 밖에 안 됩니다.
FreeBSD 커미터보다는 좀 더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노벨상 수상자를 대상으로도 한번 통계를 내 봤습니다. 자료는 위키백과 영어판의 노벨상 수상자 목록 페이지에 링크된 수상자 중 기관이 아닌 개인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그렇지만, 200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John L. Hall은 아무리 둘러봐도 생년월일을 알 수가 없어서 못 넣었습니다. (그 외의 수백명은 열심히 파싱해서 다 넣었지요. ^.^)
Phys: 물리학, Chem: 화학, PhMed: 생리/의학, Lit: 문학, Econo: 경제학
음.. 노벨상 수상자를 대상으로 한 통계에서는 오히려 1/2/3월 태생이 수가 다른 계절들에 비해서 적었습니다. 특히나 경제학상은 12.28% 밖에 안 되긴 하는데, 경제학상은 수상자가 별로 많지 않기 때문에 대상이 작아서 상대적으로 정규화가 덜 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음.. 뭔가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면 좋았을텐데.. 적어도 과학이나 오픈소스에서는 탄생월이 큰 관련은 없다는 것 같습니다. 으흐흐. 다음에 역대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대상으로도 한번 통계를 내 봐야겠네요;;; (다음 시험이 언제더라 =3)